20 Dec 2018
기본연산자
기본형 타입
- 값을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가진다.
- 크기를 가진다.
boolean형
- 참(true), 거짓(false) 둘 중의 하나를 값으로 가진다.
- 크기는 1byte
- ex, boolean b = false; boolean b2 = true;
문자형
- char
- ‘ ’를 사용해야 한다.
- char c = ‘a’;
정수형
- byte, short, int, long 순으로 크기가 크다(가질 수 있는 정수의 범위가 넓다)
- byte(-2^7 ~ 2^7 –1)
- byte bt = 127;
- 바로 128의 값을 주는 건 불가능 하지만 증가 연산자나 감소 연산자를 이용한 침범은 가능하다.
- byte bt = 128(X); , byte bt = 127; bt++; (O)
- short(-2^15 ~ 2^15 –1)
- 2byte 범위의 자료형.
- short st = 12596;
- 2byte 메모리 체계의 int 자료형과 호환성을 위해 많이 사용되지만 단독 정수형 자료형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.
- int(-2^31 ~ 2^31 -1)
- 가장 대표적인 정수형 자료형.
- 4byte
- int a = 5642;
- 정수 연산시에 발생하는 모든 결과값은 int형으로 표현된다.
- (ex, byte a = 10; byte b = 20; a + b = 30; 이때 30은 byte가 아닌 int형의 30)
- long(-2^63 ~ 2^63 -1)
- int 자료형 데이터보다 큰 값을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형.
- 사용할 때, 수 뒤에 소문자 l 이나 대문자 L을 붙여줘야 한다. (현재 시스템에게 int 기본 자료형보다 크다는 사실을 인식시키기 위해)
- long lo = 3147483647;(X) – L을 써주지 않아 int형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오류발생. long ln = 12345L; long lg = 5468l;(O)
- 8byte
실수형
- float, double 순으로 크기가 크다
- float(+-1.4E-0.5 ~ 3.4E038)
- 4byte
- 실수형의 기본은 double이기 때문에 float형을 사용하려면 숫자 뒤에 f 나 F 를 붙여줘야 함.
- float ft = 123.759f;
- double(+-4.9E-324 ~ 1.8E308)
- 8byte
- 실수형의 기본형
- double dl = 12.3654;
Til next time,
Jeong-Yoon
at 00:00
